휴가 시즌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죠.
요즘
아침과 저녁은 물론
시도 때도 없이 거리에 차가 넘쳐요.
아직 말복이 남았으니
여름 날씨도 여전히 덥고요.
저녁밥을 먹었는데도
뭔가 아쉬워요.
이럴 때 탄수화물과 당만 있으면
천국 아닌가요?
입맛 천국이요.
😛
책상에 굴러다니는
라임향 또띠야 칩에 얹어먹을
멕시코식 샐러드
피코 데 가요 Pico de gallo를
만들어 보았어요.
살사 프레스카 salsa fresca라고도
부른답니다.
재료 구입을 하다 보면
작은 재료 한 두가지는 잊어버려요.
그러면 다시 장보기가 귀찮아서
대충 만드는데,
나중에 맛을 보면
빠지면 안되는 재료가 있더라고요.
제가 좋아하는 레시피로 만드는
피코 데 가요에는
허브의 한 종류인
실란트로 cilantro를 꼭 넣는답니다.
한국에서는 고수라고 부르지요.
이 고수의 향긋함이 빠지면
마치 김 빠진 사이다 같은 느낌?
사소한 요리 재료라도
꼭 필요한 때에 넣어야 하는 것처럼
집,
일,
가족 등등
살아가는데
중요한 것들이 있지요.
그런데 이런 것들을 늘 가까이
대하다 보면 무심해지더라고요.
그 소중함을 잊고 살다가
어느 순간 아차 하고
깨닫게 될 때가 있죠.
제겐 집이란
하루 중 머무는 시간이 짧다 보니
그저 좀 요리하고 대충 잠자는 곳쯤으로
생각하며 살았어요.
그러다가
집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된
기회는 아이러니칼 하게도
홧김에 가출한 사건(?) 이후랍니다.
몇 년 전 일입니다.
한밤중 사춘기 아들과 작은 다툼이
큰소리로 번졌어요.
흔한 드라마 스토리에서는
사춘기 자녀가 반항심으로 가출하는 것
아니었나요???
제 화를 못 이겨
이번에야말로
엄마로서 뭔가를 보여주고 말 것이다..라는
굳은 신념으로 문을 박차고 집을 나왔지요.
나중엔 저의 순간적인 오기가
얼마나 헛된 무리수였음을
알게 되었지만
그날 그 순간에는
정말 제 마음이 제 것이 아니더라고요.
초겨울 찬바람을 뒤로하고
차 키를 들고 집을 나왔지만
막상 갈 수 있는 곳이 없었어요.
카톡의 그 많은 이름들을 하나씩 넘겨보아도
XXX...
그때라도 알량한 자존심을 꺾고
슬그머니 얼굴에 철판을 깔고
아들이 게임하는 틈을 타
집으로 들어가면 되었건만
그렇게 쉽게
아들에게 지는 것이 싫었죠.
결국 밤 12시가 다 된 시간에
제가 갈 수 있는 곳은
집 가까운 호텔밖에 없더라고요.
호텔에 투숙하려니 프런트 데스크에서
예약을 확인하고 신분증을 요구했어요.
운전면허증을 보여주면서
내 집이 이 근처인데 갑자기
물이 안 나와서 예약도 없이
여기에 왔다며
데스크 직원 그 누구도
물어보지 않는 이 곳에 오게 된 경위를
상세하고도 장황하게 늘어놓는
제가 좀 이상하다 여겨졌는지
저를 보는 직원 표정이 왠지 순간
부자연스럽더라고요.
룸 키를 받고 호텔 방안에 들어왔지만
아들과의 다툼으로
마음속 화가 가시질 않아
씩씩대며 눈물 콧물 찔찔 짜면서
낯선 침대에 엎치락뒤치락하다
간신히 잠이 들은 것 같아요.
몇 시간이나 지났을까...
갑자기 부스럭 부스럭 문소리가 들려
깜짝 놀라 잠이 깨었지요.
호텔 방문은 단단히 잠그고
맨 위에 보조장치까지
걸어놓았었는데요.
얼떨결에 일어나 문 앞 손잡이를 꽉 잡고
동전만 한 유리 구멍으로 밖을 들여다보니
호텔 유니폼을 입은 남녀 직원이
청소용 도구를 들고
문밖에 서있는 거예요.
긴장이 되어
보조장치는 그대로 걸어둔 채로
살짝만 문을 열고서 무슨 일이냐고 물었더니
얼렁뚱땅 시선을 돌리며
아니 뭐 지금 청소 중인데
아마도 옆방이랑 착각해서
잘못 열을 뻔했다며
정중하게 죄송하다고 하네요.
그러면서 혹시 청소할 일이 있느냐고
물어보더라고요.
노, 노, 노 땡큐...
피곤해서 자야 하니 저를 도와줄 일도 없고
괜찮다고 돌려보내고 나니
넘 어이가 없고 황당한 거예요.
셀폰을 열어보니
글쎄 새벽 4시가 좀 넘은 시간이었어요.
침대에 다시 누워 잠을 청하려니
갑자기 웃음이 나왔어요.
새벽 4시에 시체처리반이야 뭐양???
😁😁😁
호러 무비가 갑자기 코미디가
된 것 같았어요.
누가 봐도
울어서 새빨개진 토끼눈을 해갖고
밤 12시 댕댕댕
한밤중에 예약도 없이
혼자 와서 빈방을 찾으며 횡설수설한
이 빼빼 동양 아줌씨가
호텔 직원의 예감상
아마도 오늘 밤
이 세상 하직 인사차 온 것은 아닐까 하는
의심이 들었나 봅니다.
혹시라도
오늘 밤이 디데이인가?
뭔 일을 저지를 듯한 제가
몹시 염려가 되었나 봅니다.
그래서 새벽에 기습 점검차(?)
호텔 룸 메이드를 보낸 것
아닐까 생각이 들더라고요.
집에서 밤새 게임했을 아들 녀석은
제가 집에 들어오거나 말거나
전혀 개의치 않았을테고,
곰 같은 남편은
지 성질에 지가 제 발로 걸어 나갔으니
화 풀리면 뚜껑 닫고
돌아오겠지 생각하며
둘 다 잠만 쿨쿨 잤던 것 같더라고요.
결론적으로 저는
쓸데없이
굉장히 위험한 사람이었네요.
ㅋㅋㅋㅋㅋ
그다음 날까지 제 화는 풀리지 않아
하루 더 호텔에 스테이하며
시위를 하려 했지만
호텔비가 넘 아깝고
가출의 성과도(?) 그다지 시원치 않은 듯하여
아무 말 없이
집으로 기어들어 왔답니다.
호텔 프런트 데스크에 항의할까 하다가
넘 어이가 없어
(영어로 설명이 안될 것 같기도 하고)
그냥 나왔지요.
그 이후로도
사춘기 아들과 수없이 싸웠지만
이 사추기 아줌마가
더 이상 쓸데없는(?) 가출은
안하게 되었지요.
그날 이후로
가족에게 시위를 하든
가족과 언쟁을 하든
혼자서 단식을 하든
화가 날 때는
한 박자를 쉬어야 한다는
인생의 리듬을 깨달았고,
어떤 상황에서도
문을 박차고 나오면
금전적인
정신적인
육체적인
손해라는 것을 알았고,
제가 있어야 할 곳은
싫으나 좋으나
슬플 때나 기쁠 때나
집이라는 진리를 터득했답니다.
오래전에 들은
세바시 강연 중에서
강연자 분과 그 내용은
잘 생각이 안나는데
제목이 잊히지가 않아요.
"마음이 지옥일 때"라는
제목이었는데요.
가출을 통해
쬐금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 과정을
어수선한 글로 썼지만,
그때 제 마음이 바로 지옥이라면
지옥이었답니다.
마음을 돌려
지옥에서 벗어났지만
감사했던 것은
비록 나의 집이 천국같이 행복한 곳은
아닐지라도
그저
돌아와 두다리 뻗고 머리 뉘일 수 있다는
것이었지요.
만약 집의 소중함을 잊고 산다면
과감하게
가출을 확 저질러 보세요. ㅎㅎㅎ
시체처리반이 예고없이 찾아오면
나를 기다려주는 집이란 곳이
얼마나 따뜻한 공간이었음을
알게 되지 않을까요?
사는 것이 피곤할 땐
오늘밤
방황하지 말고
피코 데 가요,
내집으로 가요.
😍😍😍
복잡한 인간관계에 매여
피곤한 일상에 지쳐서
그렇게
길을 잃고 헤매면 헤맬수록
더
머물고 싶은 곳은
집이 아닐까요?
코로나로 인해
집콕해야 하는 이 시간이 길어지니
다들 마음 다스리기가 쉽지는 않지요.
하지만 집콕하고 싶어도
언젠가는
정말 집 문을 나서야 할 날이 오겠죠.
다 남겨놓고
떠나야 할 날이 온다니까요.
어려운 시간일수록
지금
어떤 상황 속에서도
집에 머물 수 있음을
감사하렵니다.
언젠가는
돌아가야 할
영원한 집도
소망하면서요.